이 카테고리의 게시물들은 파이썬을 독학하며 배운 내용을 정리한 것입니다.
주된 내용은 '혼자 공부하는 파이썬'울 바탕으로 인터넷의 블로그 및 각종 코딩 문제 사이트에서 학습한 내용을 정리하였습니다.
![]() |
|
이번 글에서는 본격적으로 파이썬을 시작하기 앞서 맛보기로 가장 기본적으로 사용되는 기초 문법들을 알아봅시다.
[ 출력 ]
파이썬의 가장 기본적인 출력 방법은 print() 함수를 사용하는 것이다.
괄호 안에는 출력하고 싶은 내용을 적는다.
print("Hello Python")
print(406)
실행결과
Hello Python
406
괄호에 출력하고 싶은 내용을 쉼표로 연결하여 여러 개 나열해서 사용할 수도 있다.
print("Hello", 406, "Test")
실행결과
Hello 406 Test
괄호 안에 아무것도 입력하지 않으면 아무것도 출력하지 않고 빈 한 줄을 만들어 단순하게 줄 바꿈을 한다.
print() # 빈 한 줄을 만듭니다
print("------확인선------")
실행결과
------확인선------
print() 함수는 파이썬을 시작하는 데에 있어 가장 기본적이고 자주 사용하는 함수일 거라 생각한다.
하지만 print() 함수는 많은 기능을 포함하고 있다. 이에 관한 구체적인 내용은 추후에 알아보도록 하자.
[ 주석 ]
바로 위의 print()함수 코드 속에 ' # 빈 한 줄을 만듭니다 ' 라는 문장이 있다.
여기서 사용한 '#'은 주석을 뜻하는 기호이다.
주석(comment)은 프로그램의 진행에 전혀 영향을 주지 않는 코드이며, 주로 프로그램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한다.
주석으로 처리하고자 하는 부분 앞에 # 기호를 붙여 주석 처리를 한다.
# 이후의 글자는 주석 처리되어 프로그램에 어떠한 영향도 주지 않는다.
# 주석에 대해 알아봅시다
print("Hello Python")
실행결과
Hello Python
프로그램이 길어지고 복잡해질수록 프로그램을 이해하기 어려워지고 가독성도 떨어지게 된다.
이때 주석을 달아줌으로써 다른 사람의 이해를 돕고 개발자의 의도를 좀 더 명확히 설명할 수 있을 것이다.
'Python > Python 공부 정리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파이썬 독학] 2.4. 숫자와 문자열의 다양한 기능 (0) | 2022.06.25 |
---|---|
[파이썬 독학] 2.3. 변수와 입력 (0) | 2022.06.06 |
[파이썬 독학] 2.2. 숫자 (0) | 2022.05.28 |
[파이썬 독학] 2.1. 자료형과 문자열 (0) | 2022.05.08 |
댓글